맥과 윈도우 모두에서 USB를 사용하려면? NTFS vs exFAT 차이와 추천 포맷
NTFS와 exFAT, USB를 포맷할 때 어떤 파일 시스템을 선택해야 할까요? 맥과 윈도우 사용자 모두를 위한 실용적인 포맷 선택 가이드를 알려드립니다.
윈도우와 맥에서 모두 쓰는 USB 포맷, NTFS vs exFAT 어떤 걸 고를까?
며칠 전, 사진을 백업하려고 USB를 포맷하려는데 '파일 시스템'을 고르라는 창이 떴습니다. 'NTFS(기본값)'랑 'exFAT' 두 가지 옵션이 보였죠. 순간 고민이 됩니다. "어떤 걸로 해야 하나?" 여러분도 이런 상황 겪어보신 적 있지 않으세요?
오늘은 USB나 외장하드를 포맷할 때 자주 보이는 두 가지 파일 시스템, NTFS와 exFAT의 차이점과 어떤 상황에 어떤 포맷이 적합한지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.
NTFS와 exFAT, 뭐가 다른 걸까?
✅ NTFS (New Technology File System)
윈도우 사용자에게는 익숙한 포맷입니다.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포맷으로, 고급 기능이 많죠.
장점
- 4GB 초과 파일 저장 가능
- 파일 및 폴더에 권한 설정 가능
- 파일 암호화, 디스크 오류 복구 기능 탑재
단점
- macOS에서는 기본적으로 읽기만 가능, 쓰기는 불가능 (별도 앱 필요)
- 일부 스마트 TV, 게임기, 카메라 등에서는 인식 안 될 수 있음
✅ exFAT (Extended File Allocation Table)
FAT32의 한계를 극복하고 윈도우와 맥에서 모두 쓸 수 있도록 만든 포맷입니다.
장점
- 윈도우와 맥 모두에서 읽기/쓰기 가능
- 4GB 이상 대용량 파일 저장 가능
- 기기 호환성 뛰어남 (카메라, 스마트 TV 등)
단점
- NTFS에 비해 보안 기능 부족
- 오래된 기기에서는 호환되지 않을 수 있음
💬 어떤 경우에 어떤 포맷을 써야 할까?
오직 윈도우에서 사용 | NTFS |
윈도우 + 맥 또는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 | exFAT |
🙋 이런 경우엔 어떤 걸 골라야 할까?
- 영상 작업을 하면서 USB를 맥과 윈도우 양쪽에서 쓴다?
→ 무조건 exFAT. - 회사 업무용 USB로 윈도우 PC에서만 사용한다?
→ 보안이 중요한 파일이라면 NTFS가 적합. - 스마트 TV에 꽂아 영화를 보려 한다?
→ TV 기종 확인 후, exFAT 또는 FAT32.
혼자서 포맷하는 방법
USB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, 또는 기기 호환 문제 해결을 위해서 포맷이 필요합니다. 아니면 새로 정리하거나 속도를 개선하고자 할 때도 사용됩니다. 하지만, 포맷 전에는 반드시 데이터 백업이 필수입니다. 원도우에서 포맷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마주하게 됩니다. 포맷할 때 나오는 항목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 드릴테니, 어떻게 설정하면 되는지 하나씩 천천히 따라와 주시기 바랍니다.
✅ 용량(P)
- 현재 연결된 USB 드라이브의 총 용량을 보여줍니다.
- 예시에서는 117GB입니다.
✅ 파일 시스템(F)
- USB가 사용할 파일 시스템 종류를 선택합니다.
- 선택 가능 옵션:
- exFAT (기본값): 윈도우와 맥 모두에서 읽기/쓰기 가능
- NTFS: 윈도우 전용에 적합, 맥에서는 기본적으로 읽기만 가능
- (128KB는 특수 포맷 옵션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선택할 필요 없습니다)
✅ 장치 기본값 복원(D)
- 제조사가 설정한 기본값(파일 시스템 및 클러스터 크기)으로 초기화합니다.
✅ 볼륨 레이블(L)
- USB의 이름을 지정하는 항목입니다.
예: MyUSB, BackupDrive 등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세요.
✅ 포맷 옵션(O) - 빠른 포맷(Q)
- 체크하면 빠른 포맷을 수행합니다.
- 빠른 포맷: 파일 정보만 삭제 (실제로 데이터는 남아 있음)
- 체크 해제 시: 전체 데이터를 완전히 지우고 손상된 섹터를 검사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림
✅ 시작(S)
- 설정을 마친 뒤 [시작] 버튼을 누르면 포맷이 진행됩니다.
- 주의: 포맷을 하면 USB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.
USB나 외장하드를 포맷할 때 단순히 '기본값'만 선택하다 보면 나중에 파일이 안 보이거나 저장이 안 되는 황당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. 오늘 설명드린 NTFS와 exFAT의 차이,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른 추천 포맷을 기억해두면 포맷 설정할 때 훨씬 덜 헷갈릴 겁니다.
기억하세요.
👉 "혼자 쓸 땐 NTFS, 여러 기기 쓸 땐 exFAT!"
앞으로도 이런 실용적인 디지털 꿀팁, 계속해서 알려드릴게요.
'ICDL국제표준자격증 > 컴퓨터활용및파일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회사에서 급할 때? 윈도우 화면 전환 단축키로 한 번에 화면 감추는 법 (3) | 2025.06.05 |
---|---|
Windows 11에서 Num Lock 기본 활성화하는 확실한 2가지 방법 (빠른 시작 해제, 레지스트리 수정) (0) | 2025.03.03 |
가족과 함께 사용하는 컴퓨터를 위한 윈도우 10 로컬 계정 및 비밀번호 설정 가이드 (2) | 2024.11.22 |
PDF JPG 변환 방법 :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3가지 (0) | 2024.01.07 |
PDF파일 변환 방법 : 데이터 형식 PDF 엑셀로 변환하기 (0) | 2024.01.07 |
OnOffpop 삭제 하기 (1) | 2018.01.11 |
ICDL Korea와 함께하는 오피스2007-2010 & Windows XP-7 완전정복!! (1) | 2014.03.25 |
ICDL 모듈 2 - 컴퓨터 활용 및 파일관리 (1) | 2014.03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