엑세스 기초 배경 설명

2009. 7. 27. 12:29

엑세스 배경


1) 정보시스템의 변천


⑴ 비집중 처리 시스템 (batch processing)

   초창기의 정보시스템으로 각종 데이터를 수집, 분류, 정렬후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
   단점 - 생성과 저장위치가 다르다. 데이터를 모아서 생성이 이루어질 때가지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

⑵ 집중처리 시스템(online processing system)

   어느 부분에서 생성하든지 한 곳에만 데이터 저장, 언제 어느 시점에서도 정확한 데이터를 볼 수 있다. 
   단점 - 과부하, 시스템관리에 어려움. 

⑶ 분산처리 시스템(distributed processing system)

   데이터를 여러곳에 분산하고, 분산된 데이터베이스간에 끊임없이 데이터 교환을 자동적을 해준다. 마치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처럼

2) 데이터 베이스의 출현배경

   ① 데이터의 중복저장 - 고객정보, 판매관리 등...
   ② 각 파일간에 데이터가 서로 연관 관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.  - 데이터의 동기화 문제
   ③ DB의 개념적 의미 -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한데 묶어 관리한다는 뜻, 데이터의 중복 최소화, 상황관련된 데이터의 통합된 집합체
   ④ DB system - D를 체계적으로 수집, 저장, 가공 제공하는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을 총칭

데이터 이미지Pixabay로부터 입수된 Gerd Altmann님의 이미지 입니다.



3) DB 관리 시스템

   - 사용자나 어플리케이션이 DB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, DB 관리스템을 통하여 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작한다. DB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와 DB사이에 사용자가 원활하게 데이터를 입/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임.
   ① 중복 통제
   ② 일관성유지(데이터 변경시 한번 변경으로 가능), 
   ③ 데이터 통합 - 중앙집중적 관리로 논리적으로 하나의 DB에 저장되는 것과 같은 효과
   ④ 데이터 공유 -
   ⑤ 생산성 향상 - 입출력과 같은 물리적인 처리부분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담당하기에 프로그래머는 주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부분에 프로그램의 초점을 맞추면 된다. 
   ⑥ 보안
   ⑦ 유연성과 편리성 - 간단한 쿼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할 수 있으므로 비 일상적인 데이터처리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수 있다. 
   ⑧ Data의 독립성 - 물리적인 변화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수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. 
  
⑶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 
   1) 구성 : 데이터의 입출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테이블이라는 특별한 개체를 사용한다. 
   2) 데이터 표현 구조
   ① 테이블 - 모든 데이터는 테이블에 담겨지거나 꺼내진다. 데이블은 표, 리스트, 목록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으며, 2차원적인 표는 어떤 형식이든 테이블로 변경할 수 있다. 
      DB는 여러개의 테이블로 구성된다. 
   ② 레코드 - 특정한 데이터에 대하여 하나의 정보를 이루고 있는 것. row 가로줄을 뜻함.
   ③ 필드 - 세로줄 column을 지칭하며, 필드자체만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. 
   ④ 테이블의 특징 
      - 모든 속성(필드)는 이름을 가져야 한다. 
      - 속성이름(예: 직원번호, 이름, 직위 등)은 유일해야 한다. 
      - 각 속성이 나타나는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. 
      - 동일한 레코드가 중복되어 존재할 순 없다. 
      - 레코드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. 
      - 모든 필드는 단일 값을 가져야 한다. 

   3) 무결성 제약조건
   ①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 - 기본키의 값이 null이 될 수 없은 것
      ㉠ 기본키 - 테이블에서 각각의 레코드를 구분 지을 수 있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 필드, 동일 필드안에  중복된 내용이 들어갈 수 있다면 절대 중요치 않다. primary key
      ㉡ 후보키 - 기본키가 될 수 있는 필드 candidate key
      ㉢ 복합키 - 한 테이블에서 각각의 레코드를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는 필드가 하나로 부족해서 둘 이상의 필드로 나태내는 것 composite key
   ②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(외래키의 사용) - 외래키의 값이 null이 될 수 없은 것 
      두 개의 테이블을 상호 연결할 때, 공급업체를 연결해주는 필드명을 foreign key라고 한다. 

   4) 관계

    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주제별로 나누어 여러개의 테이블에 저장한다. 그렇지만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적게는 한 개의 테이블로부터 많게는 수개의 테이블을 조합해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. 이처럼 몇 개의 테이블들을 조합하는 규칙을 관계라 한다. 
   ① 일대일 관계 - 각각의 테이블에 있는 하나의 레코드끼리 일치하는 관계
   ② 일대다 관계 - 예 - 상품과 판매내역간의 관계 - 상품은 여러번 팔릴수 있지만, 하나의 판매내역은 하나의 상품만 대응 
   ③ 다대다 관계 - 학생, 과목, 성적 세가지 테이블의 관계, 한 학생은 여러과목을 수강할 수 있고, 한 과목은 여러 학생이 수강할 수 있다. 

   5) 테이블 정규화하기 

      테이블 구조를 설계하는 것으로 Normalization 은 어떤 테이블 구조가 좋은 것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공한다. 즉, 하나의 커다란 데이터에서 중복되는 값들을 일정한 규칙에 의해 추출하여 보다 단순한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테이블에 데이터를 분리시켜 저장하는 작업. 
- 중복의 최소 : 저장공간 
- 테이블 관리의용이화
- 정보의 유연한 활용성 증대 
- 무결성 제약 조건 구현의 단순화
   ① 제1정규형 
      모든 속성의 값은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최소한의 값만을 가지고, 단일 값을 가져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테이블이다. 
   ② 제2정규형
      제1정규형 문제해결위한 것. 키가 아닌 모든 필드의 값은 기본키에 완전히 종속적이어야 한다. 
      즉. 테이블에서 필드 내용이 중복되는 것을 거의볼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. 
      원칙 - 기본키로 정렬을 한 후 값들이 중복된다면 그 값들을 중심으로 제2정규화를 한다. 
      - 각 필드의 의미를 파악한 후 하나의 별도의 정보가 될 수 있는 것들을 추출하여 별도의 테이블로 만든다. 
   ③ 제3정규형
      한 필드값을 알았을 대, 다른 필드의 값을 알아낼수 없도록 서로간에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. 즉, 하나의 필드에서 다른 필드의 값을 계산 또는 추측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. 그러므로 제 3 정규화는 하나의 테이블에서 어느 한 필드의 값을 알았을 때, 다른 필드의 값을 알 수 있는 경우가 있다면, 그 필드를 제거할 수도 있고, 이에 관련된 필드를 별도의 테이블로 분리할 수도 있다. 
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