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업 상담사 무료 강의 - 직업정보론 1
직업 상담사 무료 강의 - 직업정보론 1
1. [직업상담과정(단계)] (관진목 개평) (00-2/09-1)
2. [일반적으로 직업으로 규명하기 위한 4가지 요건] (직속경계 윤사) 06-2/11-1/13-3/14-2
3. [Hall이 제시한 경력발달 4단계를 순서] (13-1)
4. [일의 계속성] (주절 속의) (13-1)
① 매일, 매주, 매월 등 주기적으로 행하는 것
② 계절적으로 행해지는 것
③ 명확한 주기는 없으나 계속적으로 행해지는 것
④ 현재 일을 계속적으로 행할 의지와 가능성이 있는 것
5.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제시한 직업분류 개념인 직능, 직능수준, 직능유형을 설명 12-1
① 직능: 한국표준직업분류는 직능을 근거로 편제되며, 직능수준과 직능유형을 고려하고 있다. 직능은 주어진 직무의 업무와 과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말한다.
② 직능수준: 직능(직무수행능력)의 높낮이를 말하는 것으로 정규교육, 직업훈련, 직업경험, 그리고 선천적 능력과 사회․문화적 환경 등에 의해 결정된다.
③ 직능유형: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의 분야, 사용하는 도구 및 장비, 투입되는 원재료,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의 종류와 관련된다.
6.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직무의 유사성 판단기준 4가지 15-2
①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지식, 경험, 기능
② 직무수행자가 입직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
③ 생산과정이나 최종 산출물
④ 직무종사자가 주로 일하는 기업의 특성
7. [한국표준직업분류 주요개정내용] (08-1)
① 우리나라 노동시장구조와 조사편리성을 고려, 전문가와 준전문가(기술공)의 대분류 통합
② 대분류는 직능수준과 직능유형을 동시에 고려
③ 중분류이하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적합한 직능유형을 중심으로 분류
④ 중분류이하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추세와 고용자수를 감안하여 분류항목 조종
⑤ 세세분류 새로운 직업에 추가하거나 고용자수가 감소하는 직업은 유사직업으로 통합
8. [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직능수준을 정규교육과정에 따라 정의] (03-2/05-2/06-2)
① 제1직능수준: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때로는 육체적인 힘을 요하는 과업을 수행한다. 이러한 직업은 최소한의 문자이해와 수리적 사고능력이 요구되는 간단한 직무교육으로 누구나 수행할 수 있다. 일부 직업에서는 초등교육이나 기초적인 교육수준 (ISCED 수준1)을 필요하다.
② 제2직능수준: 일반적으로 완벽하게 읽고 쓸 수 있는 능력과 정확한 계산능력, 그리고 상당한 정도 의 의사소통 능력을 필요로 한다. 보통 중등 이상의 정규교육(ISCED 수준2, 수준3) 또는 이에 상응하는 직업훈련을 필요로 한다. 일부 직업은 중등학교 졸업 후 교육(ISCED 수준4)이나 직업교육기관에서의 추 가적인 교육이나 훈련을 요구할 수도 있다.
③ 제3직능수준: 복잡한 과업과 실제적인 업무를 수행할 정도의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수리계산 이나 의사소통 능력이 상당히 높아야 한다. 일반적으로 중등교육을 마치고 1~3년 정도의 추가적인 교육 과정(ISCED 수준5b)정도의 정규교육 또는 이에 상응하는 직업훈련을 필요로 한다.
④ 제4직능수준: 매우 높은 수준의 이해력과 창의력 및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. 이러한 수준의 직 업에 종사하는 자는 일정한 보충적 직무훈련 및 실습이 요구된다. 일반적으로 4년 또는 그 이상 계속하 여 학사, 석사나 그와 동등한 학위가 수여되는 교육수준(ISCED 수준5a 혹은 그 이상)의 정규교육 또는 이에 상응하는 직업훈련을 필요로 한다.
'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> 1.직업정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다수 직업 종사자의 분류 원칙 (0) | 2022.08.06 |
---|---|
한국의 직업분류 원칙에 대한 정리 (0) | 2020.06.17 |
공공직업정보와 민간직업정보의 특성 - 직업상담사 2급 (0) | 2020.06.16 |
[한국표준직업분류의 분류원칙 중 포괄적인 업무에 대한 분류] - 직업 정보론 (0) | 2018.12.02 |
직업상담사 무료 강의 - 직업정보론 3 (0) | 2017.05.30 |
직업상담사 무료 강의 - 직업정보론 2 (0) | 2017.05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