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다수 직업 종사자의 분류 원칙
2022. 8. 6. 14:13
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다수 직업 종사자의 분류 원칙
한국표준직업분류 목적
① 각종 사회 경제 통계 조사의 직업 단위 구분
② 취업 알선을 위한 구인 구직 안내 기준
③ 직종별 급여 및 수당 결정 기준
④ 직종별 특정 질병에 이환율(병에 걸릴 확률), 사망률, 생명표 작성 기준
⑤ 산재 보험, 생명 보험 등의 결정 기준
다수직업 종사자의 의미
: 한 사람이 전혀 상관없는 두 가지 이상의 직업에 종사하는 자
① 취업시간 우선의 원칙
: 분야별 취업시간을 고려하여 긴 시간을 투자하는 직업으로 결정한다.
② 수입우선의 원칙
: 취업시간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 수입이나 임금이 많은 직업으로 결정한다.
③ 조사시 최근의 직업원칙
: 위의 두 가지 경우로 판단할 수 없을 때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최근에 종사한 직업으로 결정한다.
'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> 1.직업정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의 직업분류 원칙에 대한 정리 (0) | 2020.06.17 |
---|---|
공공직업정보와 민간직업정보의 특성 - 직업상담사 2급 (0) | 2020.06.16 |
[한국표준직업분류의 분류원칙 중 포괄적인 업무에 대한 분류] - 직업 정보론 (0) | 2018.12.02 |
직업상담사 무료 강의 - 직업정보론 3 (0) | 2017.05.30 |
직업상담사 무료 강의 - 직업정보론 2 (0) | 2017.05.30 |
직업 상담사 무료 강의 - 직업정보론 1 (0) | 2017.05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