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능검사와 적성검사의 차이점
2022. 10. 12. 19:50
지능검사와 적성검사의 차이점
지능검사 실시목적
- 개인의 지적능력수준 평가
- 개인의 인지적, 지적기능의 특성 파악
- 3) 임상적 진단을 명료화
- 4) 기질적 뇌손상 유무 평가
- 5) 합리적 치료목표 설정
적성검사의 기능
- 개인의 잠재력 발견\
- 개인의 잠재력 개발 독려
- 진로결정의 중요한 정보제공
- 미래 학업, 직업 성공가능성 예측
- 교육적 목적에 따라 적성에 따른 학생 분류

지능검사와 적성검사의 차이
1) 지능검사 : 연령에 따른 지적능력, 학습능력 등 일반적인 정신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언어, 수리, 동작능력을 종합하는 검사
2) 적성검사 : 어떤 특정한 활동이나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특정 훈련이나 직업에서 성공가능성의 예언을 목적으로 삼는 검사
예시)
A씨의 지능검사 결과 지능지수 102, 언어성 지능 88, 동작성 지능 121이었다. 구체적인 검사지능지수가 아래와 같을 때 검사결과에 대해 해석하시오.
기본 지식 |
숫자 외우기 |
어휘문제 | 산수문제 | 이해문제 | 공통성문제 | 빠진곳찾기 | 차례 맞추기 |
토막짜기 | 모양 맞추기 |
바꿔쓰기 |
9 | 7 | 7 | 10 | 8 | 9 | 10 | 11 | 16 | 16 | 8 |
1) 전체결과 해석 : 한국판 성인용 지능검사(KWIS)에 나타난 피검자 A씨의 지능 지수는 평균이며, 언어성 지능(평균하)에 비해 동작성 지능(우수)이 높은 것으로 보아 교육수준은 다소 낮지만 일상생활에서 대처능력은 있다고 할 수 있다.
2) 세부항목 해석 : 토막짜기와 모양맞추기 점수가 다른 항목에 비해 매우 높은데 이는 지각능력과 시각·운동 협응능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며, 숫자외우기와 어휘 항목에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아 청각적 단기기억, 주의력 및 암기력, 학습 능력 등은 비교적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.
'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> 3.직업심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검사의 신뢰도(Reliability) - 직업상담사 2급 실기 (0) | 2022.12.13 |
---|---|
규준의 개념 및 확률표집 방법 (0) | 2022.12.11 |
데이비드(Dawis)와 롭퀴스트(Lofquist)의 직업적응이론 (0) | 2022.12.11 |
MMPI검사의 타당성 척도 (0) | 2022.10.13 |
지능이론 - 스피어만(Spearman)의 일반요인이론 (0) | 2022.08.08 |
GATB(일반 직업 적성 검사) 검사에 대한 설명 (0) | 2022.08.07 |
투사적 검사의 장단점(종류 : 로샤, TAT, SCT, HIP 등) (0) | 2022.08.03 |
홀랜드(Holland) 흥미유형에 따른 각 유형의 직업 특성 기술 (0) | 2022.07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