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담과 직업상담의 목표은 무엇인가?
2022. 7. 19. 14:44
상담의 목표 vs 직업상담의 목표
상담의 목표
1) 행동의 변화 :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가 생산적이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만족한 삶을 누리는데 도움이 되는 행동을 형성하거나 증가시키는데 있다.
2) 정신건강 증진 : 부정적 정서, 경험 등은 건전한 성장과 발달에 해가 되므로 적절하고 합리적인 지도를 통해 정신건강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.
3) 문제해결 :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.
4) 개인적 효율성 향상 : 내담자가 생산적 사고를 할 수 있고 적극적인 인간관계 를 형성하며 다양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.
5) 의사결정 가능 : 상담을 통해 내담자가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스스로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한다.
비스텍(Biestek)의 상담 기본원리
1) 개별화의 원리 : 내담자의 특성과 개인차를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상담
2) 의도적 감정표현의 원리 : 내담자가 자유롭게 의도적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우호적이고 온화한 분위기 조성
3) 통제된 정서관여의 원리 : 내담자의 정서변화나 감정의 고저에 동승
4) 수용의 원리 : 내담자에게 따뜻하고 수용적이어야 하며 인격을 존중해야 함
5) 비판단적 태도의 원리 : 내담자를 평가할 때 객관적, 중립적 자세 유지
6) 자기결정의 원리 : 내담자가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조력
7) 비밀보장의 원리 : 내담자와의 대화내용은 철저히 비밀 유지

직업상담의 목적
1) 자기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의 증진
2)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
3)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의 증진
4) 진로정보탐색 및 활용능력의 함양
5)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및 태도의 형성
6) 진로계획에 대한 책임감
기스버스(Gysbers)와 크릿츠(Crites)가 제시한 직업상담의 목적
기스버스의 견해
① 예언과 발달 :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탐색하여 발달할 수 있도록 촉구
② 처치와 자극 : 내담자의 직업문제 처치 및 필요한 지식, 기능의 습득 자극
③ 결함과 유능 : 결함보다 재능과 유능을 개발하는데 초점
크릿츠의 견해
① 직업선택
② 의사결정기술습득
③ 일반적 적응의 고양
'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> 2.직업상담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엘리스(Ellis)의 합리적 정서치료에 대해서 (0) | 2022.08.10 |
---|---|
정신분석 상담에서 불안의 유형과 방어기제 종류 (0) | 2022.08.09 |
상담의 기본적 이해 - 직업상담의 단계와 모자기법 (0) | 2022.08.04 |
사이버 상담의 필요성 (0) | 2022.07.20 |
크라이티스(Crites)의 직업선택 유형 분류 (0) | 2020.07.17 |
직업상담사의 역할 및 직무내용 (0) | 2020.07.16 |
직업상담의 첫 걸음 라포(Rapport) 형성 (0) | 2020.07.08 |
적극적 경청, 명료화, 직면 등 상담의 기본 자질 및 직업상담기술 (0) | 2020.07.05 |